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23~'24년 공익채널 및 장애인복지채널 선정

반응형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2022127()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23~24년 공익채널 및 장애인복지채널을 선정(인정)하였다.

 

심사 결과 3개 공익성 방송분야 중 사회 복지 분야에는 다문화TV, 소상공인방송, 육아방송, 한국직업방송 과학문화 진흥 분야에는 사이언스TV, 아리랑TV, 토마토클래식 교육·지역 분야에는 EBS플러스1, EBS플러스2, EBS English, MBC NET을 각각 공익채널로 선정하였으며, 복지TV를 장애인복지채널로 인정하였다.

 

□ 공익채널(채널명 가나다순)

분야 채널명 법인명
사회복지 다문화TV ㈜와이엠미디어
소상공인방송 (재)소상공인방송정보원
육아방송 ㈜유로티브이
한국직업방송 한국산업인력공단
과학 ‧ 문화 진흥 사이언스TV ㈜와이티엔
아리랑TV (재)국제방송교류재단
토마토클래식 ㈜토마토티브이
교육 및 지역 EBS 플러스1 한국교육방송공사
EBS 플러스2 한국교육방송공사
EBS English 한국교육방송공사
MBC NET (주)MBC NET

 

□ 장애인복지채널

장애인복지 복지TV ㈜희망복지방송

 

공익채널은 방송법70조제8항에 따라 방송의 공익성 제고 등을 위해 방통위가 2년 마다 선정하는 채널에 대해 종합유선방송,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플랫폼이 공익채널 분야별로 한 개 이상씩 의무적으로 송출하도록 한 제도로서, 2006년부터 운영되어 왔다.

 

또한 장애인복지채널은 방송법70조제3항에 따라 방통위가 인정하는 장애인복지 관련 채널을 유료방송플랫폼이 의무적으로 송출하게 한 제도로 2013년부터 운영되어 왔다.

 

이번 심사는 공익채널 선정 및 장애인복지채널 인정에 관한 고시따라 방송, 법률, 경영, 시청자 등 분야별 외부 전문가들로 심사위원회(심사위원장 김효재 상임위원)를 구성하여 3(2022.11.21.~ 11.23) 동안 진행하였다.

 

이번에 선정(인정)된 채널들의 유효기간은 2(2023.1.1.~2024.12. 31.)이며, 방통위는 해당 채널들이 제출한 계획서 및 인정 권고사항 등을 성실히 이행하는지 등에 대해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방통위는 공익채널 분야 다변화 및 장애인 정보 접근권 강화 등 심사위원회에서 제안한 정책건의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여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추후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본 저작물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2022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