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9월7일은 제1회 푸른 하늘의 날, “우리가 만드는 푸른 하늘”

반응형


□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외교부(장관 강경화)는 9월 7일이 유엔(UN)에서 채택한 공식 기념일*이자 국가기념일로서 지정된 이후 첫 번째로 맞이하는 ‘푸른 하늘의 날’임을 알리고, 이를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푸른 하늘을 위한 국제 맑은 공기의 날(International Day of Clean Air for blue skies)” 지정 유엔총회 결의안 채택(‘19.12.19)


□ ‘푸른 하늘의 날’은 유엔의 공식기념일 중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하여 채택된 첫 번째 기념일이며, 우리 국민과 정부의 제안을 국제사회가 화답하여 제정된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지난해 8월 국가기후환경회의(위원장 반기문)의 국민참여단은 ‘푸른 하늘의 날’의 제정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같은 해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기후행동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세계 푸른 하늘의 날’ 지정을 국제사회에 제안했다. 같은 해 12월 19일 제74차 유엔총회에서 ‘푸른 하늘의 날’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 또한, 정부는 지난 8월 18일부터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푸른 하늘의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 올해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정한 제1회 ‘푸른 하늘의 날’ 주제는 “모두를 위한 맑은 공기(Clean Air for All)”이다.


    * 유엔환경계획(UN Environment)은 ‘푸른 하늘의 날’ 기념일 준수를 촉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국제기구로 지정됨


 ○ 우리는 모두 숨쉬는 공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맑은 공기를 위해 우리 모두가 가정, 직장, 사회, 정부 및 국경을 넘어 함께 노력하자는 뜻이다.


 ○ 우리 정부는 이번 기념일의 주제인 “모두를 위한 맑은 공기”에 “우리가 만드는 푸른 하늘”이라는 부제를 더했다. 


 ○ 맑은 공기, 푸른 하늘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 의미다.


□ 환경부와 외교부는 국가기후환경회의, 지자체 등과 함께 9월 7일 ‘푸른 하늘의 날’을 전후하여 ‘푸른 하늘 주간(9월 4~11일)’을 운영하고,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그 영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다양한 행사를 선보인다.


 ○ 국가기후환경회의와 외교부, 충청남도는 공동 주관으로 9월 7일 오후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푸른 하늘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 리간제 중국 산둥성장, 아라이쇼고 일본 나라현지사 등 4개국(한·중·일·러, 17개 지방정부 공동선언을 추진하고, 국내외 미래세대와 함께 간담회도 진행한다.


 ○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9월 11일 인천 서구에 위치한 환경위성센터에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13개국* 주한 공관장 초청행사를 마련한다. 


    * 네팔, 라오스,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부탄, 베트남, 필리핀, 스리랑카, 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 행사 참여 국가들은 우리나라가 지난 2월 세계 최초로 발사한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관측범위에 해당하는 국가들이며,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들 국가에 위성 관측정보 제공 및 지상 관측망* 구축 지원계획을 설명할 계획이다.


    * 위성과 측정방법이 동일한 관측장비를 지상에 설치하여 위성자료 검증 및 국제 대기환경 모니터링 등에 활용


□ 한편, ‘푸른 하늘의 날’을 맞아 유엔기구에서도 9월 7일과 8일 사이 다양한 기념행사가 개최된다.


 ○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는 사티아 트리파시 유엔환경계획 사무차장 주재로 기념식이 열리고, 케냐 나이로비 유엔환경계획 본부에서는 잉거 앤더슨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주재로 고위급회의가 열린다.


 ○ 조명래 환경부 장관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푸른 하늘, 맑은 공기를 위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리나라도 책임감 있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미세먼지 없는 푸른 하늘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만들어 가야한다“라면서, ”푸른 하늘의 날을 계기로 우리 모두가 미세먼지의 피해자이자 해결사라는 마음으로 행동 하나하나를 바꿔 나가자“라고 밝혔다.


□ 한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국제사회 내 충분한 공감대와 연대정신에 기반한 공동의 노력이 있어야 우리 모두의 푸른 하늘을 지켜낼 수 있다“라면서, ”앞으로 동북아 지역을 포함해 국제사회가 공동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환경부에서 '2020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