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11월 14일부터 11월 25일까지 2주간 「2022년 안전한국훈련」을 전국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2022년 안전한국훈련 추진계획]
□ 훈련 개요
○ (기간) 11.14.(월) ~ 11.25.(금) [2주간]
※ 시범훈련 : (공공기관) 9.27.~9.29., (중앙부처·지자체) 10.19.~10.28.
○ (주관기관) 총 300개 기관(중앙부처 20, 지자체 221, 공공기관・단체 등 59)
※ 참여기관 : (’19년) 705개 → (’21년) 2,675개 → (‘22년) 2,680개
○ (훈련횟수) 총 1,433회 훈련 실시(중점 300회, 자체 1,133회)
※ 훈련횟수 : (’19년) 1,124회 → (’21년) 945회 → (‘22년) 1,433회
□ 훈련 중점분야
○ 실전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실시
- 실제 출동방식 훈련인 불시훈련 및 상황메시지 문제은행 제공
- 실제 상황시 작동하는 임무·역할 숙달을 위한 ‘부서임무카드’ 작성
○ 국민행동요령 숙지훈련 및 홍보 실시
- 재난약자 보호, 위험구역 통제 등 「국민행동요령」 숙지훈련 집중 실시
- 유튜브, 인스타와 공공시설 전광판 및 키오스크 등에 집중 홍보
○ 훈련·평가에 국민 참여 확대
- 민간단체, 민간기업의 안전한국훈련 참여 유도(평가지표 반영)
- 안전한국훈련 국민체험단의 훈련참관에서 강평까지 참여
○ 기초 자치단체 훈련 관리 강화
- 기초지자체의 컨설팅과 평가에 중앙평가단을 지원
□ 일자별 주요 현장훈련 실시 계획
구 분 | 주 요 훈 련 | 구 분 | 주 요 훈 련 |
1일차(11.14.) 2개 기관 |
① 다중밀집시설(국립중앙극장) 화재(서울중구) ② 다중밀집시설(현대리조트) 화재(강원속초) |
6일차(11.21.) 12개 기관 |
① 재난방송 훈련 (방통위) ② 다중밀집시설(문화회관) 화재(서울양천) ③ 다중밀집시설(호텔) 지진, 화재(인천중구) |
2일차(11.15.) 23개 기관 |
① 해외(미국) 발생 재난, 항공기 사고(외교부) ② 식품 안전사고(식약처) ③ 지진으로 인한 급수중단(수자원공사) |
7일차(11.22.) 48개 기관 |
① 도로터널 사고, 풍수해(경기고속도로), ② 도시철도 화재((주)에스알) ③ 항공기 사고(한국공항공사) |
3일차(11.16.) 31개 기관 |
① 정보통신 화재 사고(과기부) ② 공연장(KSPO돔) 화재(문체부, 서울송파) ③ 에너지 시설 파손(지역난방공사) |
8일차(11.23.) 57개 기관 |
① 저수지 붕괴사고(농어촌공사) ② 금융 전산 사고(금융위) ③ 유해화학물질 누출(가스안전공사) |
4일차(11.17.) 3개 기관 |
① 탱크화재 진압 (송유관공사, 전북익산) ② 다중밀집시설(복지관) 화재(대전동구) |
9일차(11.24.) 64개 기관 |
① 산불로 인한 전력 사고(한국남부발전) ② 원자력사고, 풍수해(부산시, 부산기장군) ③ 다중밀집시설(병원) 화재(대전중구) |
5일차(11.18.) 34개 기관 |
① 폭설로 인한 교통사고 (옥산오창고속도로) ② 도시철도 사고(인천연수, 인천교통공사) ③ 다중밀집시설(시립국악원) 화재(대전시,서구) |
10일차(11.25.) 26개 기관 |
① 도시철도 역사 테러 (용인경량전철, 경기용인) ② 지진(제주도, 제주 제주시) ③ 고압설비 폭발(전남도, 전남여수) |
○ 올해로 18년 차를 맞는 안전한국훈련은 재난으로부터 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대응체계를 점검하는 범국가적 훈련이다.
○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축소·간소화되었으나, 올해는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300개 기관 주관으로 민간기업, 단체 등 2,680개 유관기관이 참여하여 총 1,433회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 올해 훈련은 불시훈련, 복합상황 대비훈련, 국민행동요령 숙달훈련 등 실전 대응역량 강화에 역점을 두고 실시된다.
○ 이를 위해 훈련 일시, 상황 메시지 등 훈련 정보를 사전에 공개하지 않는 ‘불시훈련’을 확대하여 각 기관의 재난대응태세를 점검한다.
○ 그간 사고 통계 및 재난대응 사례 등을 바탕으로 난도가 높은 복합상황 훈련메시지를 문제은행 방식으로 만들어 훈련기관에 제공하여 고난도 훈련을 유도할 계획이다.
□ 또한 수요자 중심의 훈련을 위해 지역주민, 학생, 재난 약자 등이 포함된 ‘국민체험단’을 구성하여 훈련계획, 참관, 평가 등 훈련의 전 단계에 참여하고, 위급상황에 대한 회피 및 대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국민행동요령에 대한 훈련도 시행할 예정이다.
○ 아울러, 민간전문가 중심의 중앙평가단을 구성해 각 기관의 훈련실태를 평가할 예정이며, 우수기관 및 직원에게는 포상과 재정보조(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본 저작물은 행정안전부에서 '2022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무부, 합작법무법인 설립 최초 인가 (0) | 2022.11.29 |
---|---|
2022 제72주년 장진호전투 기념 및 장진호 전투 영웅 추모행사 / 2022.11.24 (0) | 2022.11.23 |
구제역 대응위해 소·돼지 분뇨의 권역별 이동제한 (1) | 2022.10.30 |
양주시 초등학생 입학축하금 지원 조례안 입법예고 (1) | 2022.10.29 |
스포티지, 투싼 17만대 전자제어 유압장치 리콜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