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 11.14~11.25

반응형

 

 행정안전부 11 14부터 11 25까지 2주간 2022 안전한국훈련을 전국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2022년 안전한국훈련 추진계획]

 

□ 훈련 개요

○ (기간) 11.14.(월) ~ 11.25.(금) [2주간]

※ 시범훈련 : (공공기관) 9.27.~9.29., (중앙부처·지자체) 10.19.~10.28.

○ (주관기관) 총 300개 기관(중앙부처 20, 지자체 221, 공공기관・단체 등 59)

※ 참여기관 : (’19년) 705개 → (’21년) 2,675개 → (‘22년) 2,680개

○ (훈련횟수) 총 1,433회 훈련 실시(중점 300회, 자체 1,133회)

※ 훈련횟수 : (’19년) 1,124회 → (’21년) 945회 → (‘22년) 1,433회

 

□ 훈련 중점분야

○ 실전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실시

- 실제 출동방식 훈련인 불시훈련 및 상황메시지 문제은행 제공

- 실제 상황시 작동하는 임무·역할 숙달을 위한 ‘부서임무카드’ 작성

○ 국민행동요령 숙지훈련 및 홍보 실시

- 재난약자 보호, 위험구역 통제 등 「국민행동요령」 숙지훈련 집중 실시

- 유튜브, 인스타와 공공시설 전광판 및 키오스크 등에 집중 홍보

○ 훈련·평가에 국민 참여 확대

- 민간단체, 민간기업의 안전한국훈련 참여 유도(평가지표 반영)

- 안전한국훈련 국민체험단의 훈련참관에서 강평까지 참여

○ 기초 자치단체 훈련 관리 강화

- 기초지자체의 컨설팅과 평가에 중앙평가단을 지원

 

□ 일자별 주요 현장훈련 실시 계획

구 분 주 요 훈 련 구 분 주 요 훈 련
1일차(11.14.)
2개 기관
① 다중밀집시설(국립중앙극장) 화재(서울중구)
② 다중밀집시설(현대리조트) 화재(강원속초)
6일차(11.21.)
12개 기관
① 재난방송 훈련 (방통위)
② 다중밀집시설(문화회관) 화재(서울양천)

③ 다중밀집시설(호텔) 지진, 화재(인천중구)
2일차(11.15.)
23개 기관
① 해외(미국) 발생 재난, 항공기 사고(외교부)
② 식품 안전사고(식약처)

③ 지진으로 인한 급수중단(수자원공사)
7일차(11.22.)
48개 기관
① 도로터널 사고, 풍수해(경기고속도로),
② 도시철도 화재((주)에스알)

③ 항공기 사고(한국공항공사)
3일차(11.16.)
31개 기관
① 정보통신 화재 사고(과기부)
② 공연장(KSPO돔) 화재(문체부, 서울송파)

③ 에너지 시설 파손(지역난방공사)
8일차(11.23.)
57개 기관
① 저수지 붕괴사고(농어촌공사)
② 금융 전산 사고(금융위)

③ 유해화학물질 누출(가스안전공사)
4일차(11.17.)
3개 기관
① 탱크화재 진압 (송유관공사, 전북익산)
② 다중밀집시설(복지관) 화재(대전동구)
9일차(11.24.)
64개 기관
① 산불로 인한 전력 사고(한국남부발전)
② 원자력사고, 풍수해(부산시, 부산기장군)
③ 다중밀집시설(병원) 화재(대전중구)
5일차(11.18.)
34개 기관
① 폭설로 인한 교통사고 (옥산오창고속도로)
② 도시철도 사고(인천연수, 인천교통공사)
③ 다중밀집시설(시립국악원) 화재(대전시,서구)
10일차(11.25.)
26개 기관
① 도시철도 역사 테러 (용인경량전철, 경기용인)
② 지진(제주도, 제주 제주시)
③ 고압설비 폭발(전남도, 전남여수)

 

 올해로 18년 차를 맞는 안전한국훈련은 재난으로부터 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대응체계를 점검하는 범국가적 훈련이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축소·간소화되었으나, 올해는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300개 기관 주관으로 민간기업, 단체 등 2,680개 유관기관이 참여하여  1,433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올해 훈련은 불시훈련, 복합상황 대비훈련, 국민행동요령 숙달훈련 등 실전 대응역량 강화에 역점을 두고 실시된다.

 

 이를 위해 훈련 일시, 상황 메시지 등 훈련 정보를 사전에 공개하지 않는 불시훈련을 확대하여 각 기관의 재난대응태세를 점검한다.

 

 그간 사고 통계 및 재난대응 사례 등을 바탕으로 난도가 높은 복합상황 훈련메시지를 문제은행 방식으로 만들어 훈련기관에 제공하여 고난도 훈련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수요자 중심의 훈련을 위해 지역주민, 학생, 재난 약자 등이 포함된 국민체험단을 구성하여 훈련계획, 참관, 평가 등 훈련의 전 단계에 참여하고, 위급상황에 대한 회피 및 대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국민행동요령에 대한 훈련도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민간전문가 중심의 중앙평가단을 구성해 각 기관의 훈련실태를 평가할 예정이며, 우수기관 및 직원에게는 포상과 재정보조(인센티브) 부여할 계획이다.

 

"본 저작물은 행정안전부에서 '2022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