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임택순 공군 대위’를 3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임택순 공군 대위는 1951년 7월 10일 공군사관학교 1기로 졸업, 소위로 임관하였다. 뛰어난 조종술과 사격술로 항상 편대의 선봉에서 적의 탱크진지 공격과 보급로 차단, 격전 중인 지상군 근접항공지원작전 등에서 눈부신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1953년 3월 6일, 강원도 고성지구 월비산과 351고지에서 작전 수행 중 적 대공포에 피탄되자 임대위는 전투기와 함께 적의 대공포 진지로 돌입, 장렬히 전사했다.
1951년 7월 10일 공군사관학교 1기로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하였다.
임관 후 제21정찰비행대대와 제15교육비행전대에서 임무를 수행하다가 1953년 1월 5일, 강릉 제10전투비행전대로 전속되어 F-51 Mustang으로 첫 출격(1953.1.23.)하여 12회 출격하기까지 적의 탱크진지 공격과 보급로 차단, 격전 중인 지상군 근접항공지원 작전 등에서 눈부신 활약을 보였다.
특히, 임택순 대위는 뛰어난 조종술과 사격술로 항상 편대의 선봉에서 작전에 임했다.
그러나 1953년 3월 6일, 적군의 자동화기 진지가 결집되어 있어 동부전선 보급품 집결지로서 매우 중요한 요새였던 강원도 고성지역 월비산과 351고지에 출격하여 아군 제5사단을 위한 근접 항공작전을 수행하던 중 적 지상군에 피탄되자 임택순 대위는 조종하던 전투기와 함께 적의 대공포 진지로 돌입, 마지막 순간까지 타격을 가하고 장렬히 전사했다.
임택순 대위는 공군사관학교 출신 최초의 전사자로 기록되었으며, 공군사관학교 동문회는 임택순 대위의 조국을 위한 고귀한 희생정신의 뜻을 기리고자 1960년 3월 모교에 그의 동상을 세웠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계급 특진과 함께 을지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
生死有命 不足論, 男兒從容 大征空
“태어남과 죽음은 명에 달렸으니 족히 논하지 말자. 사나이 조용히 하늘로 나아간다.”
- 임택순 대위가 사인첩에 남긴 마지막 기록
"본 저작물은 국가보훈처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도-광주시, 광역철도 단일안 합의 (0) | 2021.03.01 |
---|---|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등 총 71개의 법령 3월 시행 (0) | 2021.02.28 |
2021년 3월의 독립운동가 이인정·한운석·송재만 선생 (0) | 2021.02.26 |
아우디폭스바겐, Arteon 2.0 TDI 4M 등 2개 차종 922대 리콜 / 2021.2.25 (0) | 2021.02.26 |
투싼(TL), 스팅어(CK) 2개 차종 189,974대 리콜 (0) | 2021.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