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서울시 지하철 9호선 2‧3단계 노조 7월10일~12일까지 파업 예고

반응형


9호선 2·3단계 구간(언주~중앙보훈병원)을 운영 중인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문의 노동조합(서울메트로9호선지부)이 10일(금)부터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함에 따라 서울시는 8일(수)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마련하고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 현재 9호선 2·3단계 구간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사장 김상범) 9호선운영부문은 평일 열차운행횟수 445회 중 19%인 85회를 운행하고 있다.


구 분

1단계 구간

2단계 구간

3단계 구간

구 간

개화역~신논현역

언주역~종합운동장역

삼전역~중앙보훈병원역

규 모

27km, 25개 역사

4.5km, 5개 역사

9.1km, 8개 역사

운 영 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


노조 파업 예정기간은 7월 10일(금)부터 3일간이며, 서울교통공사 9호선운영부문은 필수유지인력(72%, 기관사 등)에 추가로 비조합원·파업 불참자 등을 통해 시민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열차를 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 따라서 9호선은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05:30~24:00까지 운행되며 배차간격 또한 그대로 유지된다.


    ※ 지하철은 「노동조합법」 제42조에 따른 필수유지 공익사업장으로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인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파업이 시작되는 10일부터 주요 혼잡역사 13개에 각 2명씩 직원을 배치하여 정상운행 여부를 현장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정상운행이 어려운 경우에 대비하여 단계별 대책도 마련했다. 


<파업 지속 시>


□ 운행률이 90%~99%일 경우 1단계 수송대책을 시행한다. 9호선 노선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24개 노선에 예비차량 26대를 투입하고 단축차량 36대는 정상횟수로 운행한다. 다람쥐버스 3개 노선 (8331, 8551, 8761)도 평소보다 1시간 연장 운행한다.


  ○ 예비차량이 투입되는 시내버스 노선은 9호선 주요 역인 가양, 등촌, 염창, 당산, 국회의사당, 여의도, 노량진, 고속터미널, 신논현 등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 운행률이 90% 미만일 경우 2단계 수송대책을 시행한다. 시내버스 46개 노선에 예비차량 57대를 투입하고 단축차량 63대 정상횟수 운행, 1단계와 마찬가지로 다람쥐버스 운행시간 연장과 택시 부제해제로 택시공급도 늘린다. 


□ 2단계에는 추가로 출근시간대(7시~9시)에 전세버스 4개 노선을 운행할 계획이다. 배차간격 5분대로 가양 → 당산, 염창 → 여의도는 24회, 개화 → 여의도는 18회 편도 운행한다. 또한 국회의사당 ↔ 중앙보훈병원을 배차간격 10분대로 18회 왕복운행한다.


□ 이와 관련하여,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여 지하철 혼잡도를 낮추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파업으로 혼잡도가 다시 높아질 수 있어 우려된다”면서도 “파업이 진행되더라도 시민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서울특별시'에서 '2020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