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정보

2020년 8월의 6.25전쟁영웅 지리산함(pc-704함) 57용사

반응형


거센 파도를 넘어 적진으로, 57용사 동해바다를 수호하다


  국가보훈처는 ‘지리산함(PC-704함) 57용사’를 8월의 6․25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 지리산함(PC-704함)은 6·25전쟁 직전 국민의 성금으로 도입한 우리나라 최초의 전투함 4척 중 하나로 1950년 7월 작전에 투입된 후부터 인천상륙작전 등 수많은 작전에 참여하여 전공을 세웠다.


 ○ 지리산함(PC-704함)은 6·25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우리 해군이 국민 성금으로 도입한 최초의 전투함 4척 중 하나로 1950년 7월에 배치된 직후부터 전선에 투입된 지리산함(PC-704함)은 1950년 8월 덕적도·영흥도를 탈환하여 인천상륙작전의 관문을 열고, 1951년 1월 황해도 월사리에서 피난민과 유격대원을 구조하는 등 수많은 작전에서 전공을 세웠다.


 ○ 지리산함(PC-704함)은 동해경비작전(작전명:28작전)에 임하라는 해군본부 작전명령 제430호(1951.12.23.)에 따라 1951년 12월 24일 10시 부산을 출항하여 12월 25일 원산해역에서 삼각산함(PC-703함)과 교대하고 해상경비작전에 임했다.


※ 사진출처 : 해군발간 역사서 「6·25전쟁과 한국해군작전」, 미 해군본부 역사관리기관 홈페이지(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 제공 국가보훈처


 ○ 당시 원산해역은 갈마반도, 호도반도 등 육지에 북한 해안포가 설치되어 있었고, 여도 등 도서지역은 아군이 정보수집 전초기지로 확보하고 있던 군사적 요충지로 매우 위험한 해역이었다.


 ○ 지리산함(PC-704함)은 ‘북한군이 원산 성남리 동북방에 기뢰 및 지뢰 등을 은폐하여 두고 야간에 트럭을 이용하여 원산항 부근으로 운반하고 있다.‘ 는 정보에 따라 거센 파도에도 불구하고 적의 기뢰부설 저지를 위해 야간경비작전을 강행하던 중 12월 26일 새벽 적의 기뢰에 접촉되어 함 침몰과 함께 이태영 함장 등 승조원 57명 모두가 장렬히 전사하였다.


 ○ 한편, 해군1함대사령부에서는 매년 12월 26일 지리산함(PC-704함) 전사자 충혼탑에서 57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넋을 기리는 추모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지리산함(PC-704함) 57용사]


▷중령  이태영·권순달 

▷소령  김하근 

▷중위  안우섭·박찬익

▷준위  천세봉

▷상사  하윤만·백명흠·최수한·고재돈·정상관·이봉조·임승두 

▷중사  강남주·김인제·윤종수·백윤봉·안복석·김명철

▷하사  박호경·이태읍·최준우·임선웅·김찬석·이몽길·이상조·신조근·조영구·정학상·오경두·정태용·정승면·이판동·김성안·김석준·김경태·박근수·이의수·김태훈·김서용·김영대·김경옥·손봉수·이창용·이영두·김정태

▷상병  이봉춘·이귀익·전기석·정휘두·민상기·박인식·김옥근·김희곤·노동우·최삼천

▷일병  이영복


"본 저작물은 국가보훈처에서 '2020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